기사 메일전송
국토부 건축산업 활성화 위한 건축 정보시스템 혁신T/F 12일부터 운영 - 활용가치가 높은 도면 등의 건축정보 공개로 피난경로 안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 활용 - 증강현실(AR)기반 건축정보 검색서비스 시범사업 추진 및 건축통합포털 구축, 건축데이터 품질·기술수준 향상 및 관련 법·제도 개선
  • 기사등록 2019-06-11 11:45:18
기사수정

[대전인터넷신문=세종/최요셉기자] 앞으로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주변 건축물의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고, 건축서비스는 하나의 창구에서 빨고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주변 건축물의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고, 건축서비스는 하나의 창구에서 빨고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사진-국토부 제공]


외출시 잠긴 화장실로 인해 불편을 겪었던 일들이 앞으로는 AR기반 건축정보 검색서비스를 통하여 개방화장실 위치 등 건축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고, 건축 통합포털을 통해 모든 건축 관련 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자체 공무원들이 공사현장을 방문 시 관련서류를 구비하여 종이문서에 결과를 작성한 뒤 사무실에 돌아와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시스템에 입력하던 행정비효율이 현장 방문 시 모바일을 통해 해당 현장의 건축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현장에서 결과를 즉시 입력할 수 있어 업무효율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활용가치가 높은 도면 등의 건축정보는 공개되어 피난경로 안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건축행정 서비스를 개선하고, 미래의 건축산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국토부 김상문 건축정책관을 팀장으로 AURI, LH, 한국감정원, 대한건축사협회 등 6개 기관·협회, 관련 전문가 참여하는 “건축 정보시스템 혁신TF(이하 혁신TF)”를 구성하고, 6월 12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혁신TF에서는 건축정보가 ‘제대로 생성’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잘 활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 품질개선, 정보공개, 정보활용 창업지원 등 다양한 시스템 및 제도개선 사항을 발굴할 예정이다.


이번 혁신TF 가동을 계기로 국토부는 건축정보 시스템 이용 시 국민들이 느끼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신기술과 접목하여 건축정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새로운 서비스를 적극 발굴할 예정이며, 건축산업 측면에서도 건축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데이터의 품질향상과 정보개방 확대 등 제도개선을 병행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건축물 생활 편의 및 안전 정보 등을 실세계에 3차원 가상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인 AR을 기반으로 실시간 조회할 수 있는 모바일 검색서비스 구축 관련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특정지역을 대상으로한 시범사업추진을 통해 건축관련 모바일 특화정보를 발굴하고, 모바일 열람서비스 등도 단계별 확대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건축 관련 서비스를 한 곳에서 받을 수 있도록 ‘건축HUB(가칭)’를 구축하여 공공서비스 창구를 하나로 통합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난위험 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등 건축물 현황관리 종합상황판(dash-board) 구축 및 정보허브 역할 강화를 추진하는 한편, 245개 지자체별로 분산·관리되고 있는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을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 운영·관리체계로 전환할 계획이며, 재구축 시 국민입장에서 Active-X 등 접근 불편사항을 제거하고, 전자결재 연동 등으로 복잡한 건축 민원 처리기간 단축될 전망이다.


아울러 도면작성 표준 마련 등을 통해 건축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 AI기술을 활용한 오류 자가진단 등을 통하여 데이터 품질 개선 추진하는 한편, 공개가 제한되어 있는 도면 등의 건축정보를 공개하고, 정보활용 창업지원 등을 통하여 건축정보 산업 생태계 육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김상문 건축정책관은 “건축 관련 공공서비스를 개선하고, 건축의 미래산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건축 정보시스템의 근본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건축 정보시스템 혁신방안을 마련하는 즉시, 사용자 등 다양한 분야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요셉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9-06-11 11:45:18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유니세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