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개인형 이동 장치 재활용 비중 높아지고 회수 쉬워진다 –대전인터넷신문-
  • 기사등록 2025-02-13 10:08:17
기사수정

대전인터넷신문=세종/최대열 기자] 앞으로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 장치의 재활용 비중이 높아지고 회수 절차도 무상으로 간편해지게 된다.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2월 12일 오전 수도권 자원 순환센터(용인시 처인구 소재)에서 한국환경공단, 한국 전기 이륜형 자동차 협회, 한국 전자제품 자원순환 공제조합*(이하 이순환거버넌스)과 ‘개인형 전동 이동 장치(e-모빌리티)’ 순환이용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전동 이동 장치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이행 체계를 기반으로 추진된다. 개인형 전동 이동 장치는 현재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비대상으로, 강화플라스틱(파쇄 및 선별에 추가 비용 소요)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 전기 이륜형 자동차협회는 전국 200여 개 회원사 판매대리점과 물류센터에 개인형 전동 이동 장치 수거 거점을 마련하고, 이순환 거버넌스는 200여 대의 폐 전기·전자 제품 운반 차량을 활용해 무상 회수하여 재활용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해당 재활용 실적을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 재활용 실적으로 인정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연간 전기자전거(25kg 기준) 약 14만 대 분량을 재활용하여 철, 알루미늄 등 유가 자원 약 3,400t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거 거점 위치 등 구체적인 배출 방법은 이순환 거버넌스 누리집(e-cycle.or.kr) 알림창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병화 환경부 차관은 “개인형 전동 이동 장치 등 새로운 유형의 폐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민관 협력을 확대하고,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대상을 전 품목으로 확대하는 등 법과 제도를 지속해서 개선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대열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2-13 10:08:1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유니세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