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국 최초 공간혁신 적용된 세종 제2 특수학교 설립 계획 - 유치원 3개, 초등학교 12개, 중학교 6개, 고등학교 6개, 전공과 6개 등 모두 33개 교실 204명 배치 - 4-2 생활권 대학 용지 인근, 총면적 12,765㎡ 규모 총사업비 417억 원 - 학교 도서관, 체육관, 공연장 지역에 개방하는 지역사회 통합형 학교로
  • 기사등록 2019-11-19 10:10:47
  • 기사수정 2019-11-19 10:43:06
기사수정

[대전인터넷신문=세종/박미서기자] 세종시 3~5 생활권과 조치원읍, 전동면, 연동면, 부강면, 금남면을 학구로 한 제2 특수학교 설립이 교육부 중투를 통과함에 따라 내년에 설계를 발주하고 22년 9월 개교를 목표로 본격 추진된다.


최교진 세종시 교육감이 19일 교육청 대회의실에서 22년 9월 개교 예정인 제2 특수학교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최교진 세종시 교육감이 19일 오전 교육청 대회의실에서 2022년 9월 개교 예정인 세종 제2 특수학교 설립 계획을 밝히고 있다. [사진-대전인터넷신문]

학생의 관점에서 다양한 학습과 휴식 기능이 가능하도록 세종시교육청이 중점 추진 중인 공간혁신이 전국최초로 적용된 제2 특수학교는 4-2 생활권 대학부지와 인접한 금남면 집현리 619번지에 유치원 3개, 초등학교 12개, 중학교 6개, 고등학교 6개, 전공과 6개 등 모두 33개 교실에 204명의 학생이 배치될 예정이며,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실과 교실 사이에는 화장실이 설치되고 전 교실 바닥 난방이 제공된다.


 

특히, 학생의 정서적 안정을 위하여 교실마다 심리안정실을 설치하고 급별로 3D 체험교실을 구축해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며 14,355㎡ 규모의 부지에 건축 총면적 12,765㎡로 고운동에 먼저 자리 잡은 세종누리학교(총면적 13,088㎡)와 비슷한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또한, 설계 단계부터 준공까지 학교 사용자인 학생, 학부모, 교사는 물론 건축과 공간 전문가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아이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형엘리베이터와 경사로 등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을 학교 전반에 반영하는 한편, 학교 급별 보통교실은 급당 정원이 적게는 4명 많게는 7명이 적용되고, 학생의 정서적 안정을 위하여 교실마다 심리안정실을 설치하고 급별로 3D 체험교실을 구축해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장애 유형에 따른 재활 활동은 물론 진로 탐색과 직업교육이 가능하도록 재활 훈련실과 진로작업실 등을 확보할 계획이며 재활 훈련실은 아이들이 느끼고 조작함으로 신체기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감각 운동과 놀이 훈련실, 작업훈련실, 생활훈련실, 언어재활실, 심리 안정실 등 9개 교실을 구축하고, 진로직업실은 졸업 후 높은 진로 성과를 보이는 공예와 원예 그리고 제과제빵과 바리스타, 직업준비, 직업훈련 등 7개의 교실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발달단계에 따른 특화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유치원 과정은 누리과정을 근간으로 신체 운동과 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 경험, 자연탐구 등 5개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하되 삶의 기초 활동인 신변자립 프로그램을 특성화하고, 초등학교 과정은 장애 정도와 학년에 따른 개별화 교육을 기본으로 문화와 예술 그리고 체육교육을 강화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되며, 중학교 과정은 사회를 이해하고 직업 소양을 가질 수 있도록 사회적응능력과 진로 탐색 및 직업 기초 과정을 특성화하고, 고등학교 과정은 예비 사회인으로 자립 생활이 가능하도록 직업 세계를 알아보고 기능 및 실습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전공과는 전문 직업인으로 직무 중심 전문 직업교육과 함께 대학, 산업체 등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과정 운영으로 장애 학생들도 세종시의 비장애 학생들과 같이 더욱 넓고 다양한 영역에서 진로를 설계하고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초등학교까지의 교육과정은 놀이와 생활 중심으로 세종누리학교와 동일하게 운영하되, 중학교 이상의 교육과정은 특수학교별로 업종을 특화해 직업교육을 운영할 계획이다. 제2 특수학교는 공예, 원예, 제과제빵 등 제조서비스업을 특화하고, 누리학교는 사서·요양·교육 보조 등 공공서비스업을 특화할 계획이다.


특히 교육청은 지역에서 활동하는 특수교육 적합 직종의 기술 명장이나 전문가를 현장 교수 인력으로 확보하고, 현장실습이 가능한 기관도 최대한 확보해 심화 교육과정으로 학점 인정 과목을 개설해 운영할 계획이며, 아울러, 도서관, 체육관, 공연장 등을 지역에 개방하고 문화·예술과 체육에 대한 방과 후 활동을 주민과 함께 즐겨 학생들의 사회 교감 역량을 키우고 주민의 장애 인식을 개선하는 등, 지역사회와 통합된 특수학교 체제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끝으로 최 교육감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학교는 지역사회와 더 유기적으로 상관되고 상황에 따라 여러 학습공간으로 재구성될 유연성이 요구된다”라며 시민과 교육공동체의 성원과 지지를 당부하였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박미서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9-11-19 10:10:4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유니세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