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한 약사회, 라니티딘 사태와 관련한 대국민 안내, 국민 우려 해소 위해 전력 - 유튜브 통해 라니티딘 소비자 대응 방안 제시
  • 기사등록 2019-10-01 07:46:51
기사수정

[대전 인터넷신문=대전/창길 수 기자] 약사회는 지난 27일 최근 논란이 된 라니티딘 성분 의약품의 발암추정물질 검출과 관련한 영상을 제작하여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했다.


약사회가 라니티딘 사태관련 유튜브를 통해 대국민 안내를 진행하고 있다.(사진=대한약사회)

해당 영상은 ▲라니티딘을 복용하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라니티딘? 잔탁? 라니티딘 위장약 왜 이렇게 많을까? 등 영상은 2편으로 제작됐으며, 라니티딘 사태에 대한 개요 및 라니티딘 의약품 복용 여부 확인 방법, 내 처방 및 교환·환불 절차, 라니티딘 사태와 관련한 국제 일반 명제도(INN) 도입의 필요성 등에 대해 설명했다.


신선주 홍보이사는 “혼란을 겪고 계신 국민들께 한시라도 빨리 정확한 정보를 알기 쉽게 드릴 수 있도록 신속하게 영상을 제작했다"라며, “금번 영상이 라니티딘 성분 약을 복용하고 계신 환자분들로 하여금 과도한 우려를 해소하고 추후 올바른 조치를 받는데 기여하기 바란다"라고 전했다.


영상 제작에 참여한 오인석 학술이사·최지혜 기획이사는 영상을 통해 “지난 발사르탄 사태에서도 마찬가지였지만,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소비자들이 자신이 복용하는 약 성분이 발사르탄인지 라니티딘인지 알지 못해 혼란을 겪는 것이다"라며, “회사 이름과 성분명을 더해 제품명을 짓는 국제 일반 명제도(INN) 도입이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약사회는 1년 전 발사르탄 사태에 이은 라니티딘 제제 NDMA 검출 재발과 관련하여, 지난 27일 입장문을 통해 ▲국제 일반 명제도(INN) 도입 ▲공동생동 전면 폐지 ▲약가제도 개편 ▲위기대응 기금 조성 ▲상시적 의약품 안정공급 관리 등의 근본적인 제도 개선을 포함한 정부의 책임 있는 대처 및 후속 조치를 촉구한 바 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창길 수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9-10-01 07:46:5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유니세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