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인터넷신문=세종/권혁선 기자] 세종시의회 제91회 1차본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여미전 의원은 5분자유발언을 통해 세종형 그린뉴딜 스마트밸리에 대해 제언 했다.
여의원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세종시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한 해 6만 2천 톤으로, 급격히 증가한 가운데, 이를 처리하는 유일한 소각장은 하루 약 45톤만 처리 가능하며, 가람동의 연료화시설은 지난해 약 5,600톤을 처리했지만, 총 반입량의 75%, 약 90억원을 투입해 외부에 위탁하는 실정이다.
이렇듯 증가하는 배출량 대비 부족한 처리능력을 보완하기 위해 전동면에는 친환경종합타운이 들어설 예정이며, 이 시설은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될 것이다.
여의원은 세종시가 단순히 폐기물을 처리하는 수준을 넘어 그 시설을 활용하여 환경과 사람이 공존하고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또한, 여의원의 5분 자유 발언 자료에 따르면 방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세계 산소의 약 20%를 생산하며 기후 조절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매년 극심한 가뭄과 화재로 활활 타고 있어 생태계와 야생동물, 기후변화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인간의 활동, 특히 기업식 농업과 소 목장 등으로 인한 탄소배출이라 경고한다.
이미 많은 국가와 기업들은 RE100을 실천하며 더 나은 지속가능한 지구환경보호를 실현해 나가고 있으며 그 일환에는 스마트농업이 있다.
국·내외 식품업계는 기후위기 대응전략 중 먹거리와 관련해 스마트팜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낙점하고 확장해 나가고 있다.
스마트농업은 고령화와 농업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 그에 따른 생산비용 상승, 비료 사용으로 인한 토양오염 등 영세가족소농 중심의 우리 농업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다.
정부는 2014년 스마트팜 도입 계획 발표 이후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지정하며 한국형 스마트농업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이미 스마트농업을 도입시킨 농가들이 전국에 약1,900개이며 정부는 2027년까지 도입률 30%를 목표로 미래 먹거리 산업을 확장해 가고 있다.
세종시도 69개의 스마트팜이 있으나, 일부 품목에만 쏠려있어 다양화에 대한 노력이 요구되지만, 올해 11개 농가를 대상으로 지원하려던 계획마저 지지부진해 스마트팜 도입에 대한 첫걸음도 떼지 못한 수준이다.
더욱이 높은 지가와 부족한 지원 여건으로 우리 청년농들은 거점교육기능을 담당하는 혁신벨리를 찾고, 이후 그곳에 정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세종시 청년농 감소 및 고령화 가속으로 지역의 농업 기반을 흔드는 요인이 될 것이다. 이에 여 의원은 지속가능한 그린뉴딜정책 실현과 세종시의 미래 농업 및 먹거리 확보를 위한 제안을 했다.
▲첫째, 친환경종합타운 조성에 따른 잔열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기반 스마트팜을 추진해야 한다.
수영장, 빨래방과 같은 보편적 시설은 결국 사람이 찾지 않는 폐기물 처리기능만 남을 것이다.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팜 도입으로 보다 친환경적이고 장기적인 지역산업의 축이 될 것이다.
실제로 강원도 인제에서는 쓰레기 처리장에서 나온 에너지를 이용하여 재배한 농작물이 큰 호응을 얻어 친환경 실현 및 수익 창출이라는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둘째, 스마트팜 추진시 식용곤충산업 중심 육성을 제안한다.
2억 8,000만 명이 겪는 세계적인 식량위기 속에서 스마트팜을 통한 식용곤충산업은 미래를 위한 필수 그린뉴딜의 하나가 될 것이며 우리의 숲을 지키는 일이 될 것이다.
이미 식량자원으로 높은 가치가 입증된 밀웜과 굼벵이 등 식용곤충을 재생에너지로 사육하고 관내 업체들은 이를 활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하는 6차산업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지역의 먹거리분야 산업 활기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여 의원은 지적했다.
끝으로 여의원은 “지구는 무한한 풍요를 갖고 있지 않다면서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에너지와 자원으로 전환시키며 경제를 살리고, 나아가 지구와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친환경 정책을 우리 세종시가 선도할 수 있길 바라다면서 5분 발언을 마쳤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권혁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