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온실가스, 이대로면 여름철 극한 열스트레스 발생일 11배 증가 - 현재 9일 미만으로 발생하는 극한 열스트레스일이 21세기 후반기에는 90일 이상으로 늘어날 것
  • 기사등록 2023-08-02 11:32:56
기사수정

[대전인터넷신문=세종/최대열 기자] 21세기 후반이 되면 우리나라를 포함한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전역의 여름철 스트레스 지수가 현재(26.1℃)보다 3.1에서 최대 7.5℃까지 상승될 것으로 전망됐다.



극한 열스트레스일 또한 현재 4.7일에서 42.8일에서 최대 103.8일로 증가하고 최대 지속 시간은 현재 2.4일에서 16,1~68.2일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한반도는 동아시아 6개 권역 중 중국북동부지역 다음으로 열스트레스 지수가 3.2에서 7.8℃까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여름철 실외 환경에서 사람이 느끼는 온도를 기반으로 한 열스트레스에 대한 미래 전망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기상청이 이번에 발표한 미래 열스트레스 전망은 고해상도(25km) 동아시아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SSP, 모델 5종 앙상블)에 기온과 습도를 고려한 습구흑구온도(WBGT) 기반의 열스트레스 지수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한반도,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 지역에서 여름철 평균 열스트레스지수는 현재(26.1℃) 대비 21세기 후반기에 3.1∼7.5℃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우리나라는 산간지역을 제외하고 기온과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내륙과 해안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여름철 열스트레스 지수가 높게 나타나는 분포를 보였다. 수도권을 비롯한 권역별 차이도 나타났으나, 전 권역에서 현재 9일 미만으로 발생하는 극한 열스트레스일이 21세기 후반기에는 90일 이상, 6월 중순에 시작하여 9월 중∼하순까지 발생하고, 최대 지속 기간도 현재 3~4일에서 70~80일로 늘어나는 것으로 전망됐다.2222



유희동 기상청장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고온 현상이 더욱 자주 발생하고 극심해질 것이 예상됨에 따라, 야외 활동 및 온열질환과 관련된 미래의 열스트레스 정보는 매우 중요합니다.”라며,“기상청은 극한기후에서의 안전 및 건강과 관련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다양한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대열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3-08-02 11:32:56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유니세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