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세종시교육청 세종시청과의 소통부재로 세종시완성에 찬물 - -학생안전체험관 둘러싸고 집행부 내부 불만 양성 -
  • 기사등록 2018-11-06 16:33:42
  • 기사수정 2019-11-21 13:57:02
기사수정


지난 414일 전국에서 가장 먼저 도입한 세종시교육청 이동식 안전행복버스는 총 사업비 56천여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난 1월 제작 완료하여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를 방문해 전문가의 지도하에 체험위주 안전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구성했지만 11월 현재 전체운영비 대비 체험학습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운영의 비효율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사진-대전인터넷신문/최 대열 기자]

 

세종시교육청 이승복 부교육감이 6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밝힌 학생안전체험관 건립계획을 놓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박근혜정부 당시 메르스사태로인한 국민안전이 심각하게 대두될 즈음 박근혜 정부가 메르스자금을 이용한 안전체험관 건립을 지시하고 이에 교육부가 사업을 추진하기로 자청하면서 일선 교육청에 배정한 안전체험관 건립비를 교육청이 집행부와 소통없이 배정받아서 현재 세종시에 필요한 중급이상의 안전체험관건립지원이 사실상 필요한데도 교육청이 기 지원받은 학생안전체험관이 있다는 이유로 국가로부터 지원을 거절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세종시교육청은 집행부와의 충분한 소통을 통해, 협의하였고 집행부와의 수요시기가 상이하여 부득이 교육청이 먼저 안전체험교육원을 설립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정부는 중투에서 세종시가 요구한 안전체험관 건립 지원에 대해 운영체제 일원화를 요구하며 불승인조치하였고 이는 사실상 불가통보로 세종시가 필요로하는 중급 규모의 안전체험관은 사실상 물건너간 것으로 집행부와 교육청의 소통부재로 31만 세종시민이 피해를 고스란히 전가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국가정책상 시도별 1개를 원칙으로하는 안전체험관 건립비를 교육청이 시청과 머리를 맞대고 결정했어야함에도 교육청 독단으로 결정하여 결국 세종시는 중급규모의 안전체험관 건립이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비판섞인 목소리들이 표출되고 있다.

 

결국 안전체험관 건립비를 반납하고 국가와의 협의를 통해 세종시민전체가 이용할 수 있는 안전체험관을 확대 변경했어야 하고, 특히 세종시가 정부에 제시할 논리적 근거를 소멸했다는 지적이다.

 

 

 

<</span>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 대열 기자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8-11-06 16:33:42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유니세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