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제22대 세종시 총선 부정선거 수사를 촉구한다
  • 기사등록 2024-05-30 10:14:39
  • 기사수정 2024-05-30 15:21:40
기사수정

[대전인터넷신문=세종/최대열기자] 29일 세종시청에서 세종 부정선거부패방지대(이하 부방대)는 기자회견을 통해 제22대 세종시 총선 부정선거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30일 오전 10시 세종시청 정음실에서 세종 부정선거방지대가 제22대 총선 부정선거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대전인터넷신문]

부방대는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10년 동안, 중앙과 전국 선관위의 채용 비리가 1200여 건에 이르고, 대한민국 헌법 기관을 자신들의 아들, 딸, 그리고 예비 사위들까지 끌어모은 가족회사로 탈바꿈시켰습니다. 지난 국정원 조사에서는 데이터베이스 해킹으로, ‘유령 유권자’를 선거인 명부에 등록하고, 선거 후보자를 바꾸고, 개표 결과까지 조작이 가능한 거로 밝혀졌다”라며 언론과 정치인의 침묵을 지적했다.


이어 “어느 순간부터 우리 언론과 정치인들은 대한민국과 우리 아이들의 미래는 외면하고, 오로지 자신들의 이익과 한 줌 안 되는 권력에 눈이 멀어 선거의 과정과 공정성은 쳐다보지도 않고, 오로지 선관위 권력에 순종하고, 수많은 애국 시민들의 외침에는 침묵과 무시로 회피하여 왔다”라고 지적하면서 언론과 정치인을 향해 쓴소리로 지적했다.


부방대에 따르면 중앙 선관위의 22대 총선 자료에 따르면 세종시 총선 당일 현장투표는 세종 갑 1.3%, 세종을 3.2% 격차가 나는 반면에, 관 내외 사전투표 득표수(율) 차이는 각 15%, 13% 차이가 나는데 이는 통계의 기본원칙인 대수의 법칙에 정반대의 결과이며 세종 갑 지역구의 무효가 6,700표에 이르는데, 신도심(공무원, 젊은 층이 다수) 지역에서 (투표지에 잘 못 표기해서) 전체 투표자의 약 6%가 무효표 처리됐고, 지난 21대 총선과 비교해 2만 명의 투표인 수 증감을 고려해도 무효표 수가 거의 6배 차이가 나는 것은 부정선거로밖에 볼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세종 갑의 (관 내외) 사전선거 무효 투표수가 4,117표로 당일 투표 무효 수 2,583표의 2배에 이르고, 국외 부재자 투표 무효 수는 25%인데 이는 직전 21대 총선에 비하면 무려 125% 증가하는 기이한 현상이 발견됐고 세종을은 이번 22대 총선 국외 부재자 투표 득표수의 경우 국민의힘 과 민주당 격차가 4배에 이르는 것뿐 아니라 세종 을과 갑의 관내 사전선거 무효표 수를 신도심 동별로 분석한 결과 무려 10배의 차이가 난 것을 두고도 공무원들과 젊은 유권자들이 같이 살고 있음에도 10배의 무효표 차이는 어떤 식으로든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고, 부정선거 주장을 강하게 뒷받침하는 개표 결과라고 주장했다.


또한, 현재 대한민국 각종 여론조사를 할 때 대부분 1,000명 정도를 대상으로 한다. 이 천명의 표본이 전체를 대표할 경우 위험요인이 있기에 오차범위를 ±5%라고 하는 것이며 이 표본 수가 2,000명 3,000명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오차범위가 줄어들고 전체집단의 평균에 근접하고, 대표성의 신뢰도가 더 높다고 주장했다.


부방대는 현재 대한민국 각종 여론조사를 할 때 대부분 1,000명 정도를 대상으로 한다. 이 천명의 표본이 전체를 대표할 경우 위험요인이 있기에 오차범위를 ±5%라고 하는 것이며 이 표본 수가 2,000명 3,000명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오차범위가 줄어들고 전체집단의 평균에 근접하고, 대표성의 신뢰도가 더 높다고 주장했다.


선거에 참여하는 유권자들은 선거구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대부분 8만 명 초과에 따라 표본 수가 8만 명 이상이면 사실상 전체 모집단에서 오차가 거의 없어야 하지만 한 지역(마을)에서 사전과 당일에 유권자들의 지지 성향이 크게 차이가 날 가능성은 거의 없음에도 한국의 지난 21대 총선과 22대 총선 선거 개표 자료를 보면 사전과 당일 투표에서 이 대수의 법칙이 어긋나는 경우가 상당수가 발견됐으며 더 특이한 것은 일정한 규칙성으로 지난 4.15총선의 경우 서울의 대부분 선거구에서 사전개표결과 63% 대 36%의 결과는 자연적인 현상이라고 보기는 매우 힘들다고 주장하면서 사전과 당일의 지지 성향이 대수의 법칙을 위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대열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5-30 10:14:3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유니세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