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행복청, 실질적 행정수도 ‘맞춤’ 체계적 교통체계 구축…생활밀착형 교통체계 구성
  • 기사등록 2024-05-23 10:39:57
  • 기사수정 2024-05-23 10:50:03
기사수정

[대전인터넷신문=세종/권혁선 기자] 행복청은 국회세종의사당 등으로 인한 신규 교통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체계를 구성하기 위해 도로확충, 외곽순환도로 28.5km 전체 구간 개통, 금강 횡단교량 신설 등 행복도시 교통 인프라 조성과 함께 도시 내 대중교통체계도 체계적으로 개편해 나가고 있다.


[자료-행복청]

2개의 순환 구조로 설계되고 있으며, 내부 순환도로에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가 핵심축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난해 행복도시 BRT 연간 이용객은 1,123만 명에 달해 하루 평균 3만여 명의 시민들이 이용하는 등 지역주민의 발 역할을 하고 있다. BRT는 지하철 대비 건설비 1/10, 운영비 1/7 수준의 저비용 고효율 대중교통수단으로, 국토교통부, 지자체 등 관계 당국은 도입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26년 전후로 도심 내부 교통량을 외부로 분산하는 외곽순환도로가 개통되면 행복도시의 큰 교통 골격이 완성되게 된다. 


아울러 행복청은 내부 순환 BRT 단일 대중교통망이 아닌 광역 BRT, 광역철도를 연계한 '십(十)자형'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하여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통한 교통정체 해소,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등 친환경 교통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행복도시와 대전, 청주 등 주변지역을 잇는 광역 BRT 5개 노선을 운영하고, 공주, 조치원 등 노선확대를 통해 BRT가 행복도시권 광역상생발전과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행복청은 매년 정기적으로 교통량 조사를 실시하여 지정체가 심한 주요 도로의 신호최적화, 차로운영 조정, 교통안전시설 설치 등 다양한 개선 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평균 지체시간이 20~40%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행복도시는 회전교차로(94개소), 고원식 횡단보도 등 다양한 교통정온화 기법을 적극 도입한 결과 최근 4년간('19~'22년)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전국 최저를 기록하는 등 안전한 보행환경도 갖추고 있다. 회전교차로는 설치 시 교차로 내 사망사고가 75.1% 감소하는 등 도로 위험도를 낮추는 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형렬 행복청장은 “지속적인 도로 인프라 개선과 혁신적인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하여 국가 균형발전의 중심지이자 실질적인 행정수도의 입지를 다지고, 친환경 미래도시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권혁선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5-23 10:39:5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유니세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