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Top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
정부의 각별한 노력 속에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전년 대비 17% 줄었다 전국 124개 시·군·구에서 발생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고사목 41만 본을 전량 제거 박미서 기자 2020-05-06 08:51:18

[대전인터넷신문=대전/박미서기자]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전년 대비 17% 감소한 가운데 산림청이 작년 5월부터 매개충의 우화 시기 전인 올해 4월까지 전국 124개 시·군·구에서 발생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고사목 41만 본을 전량 제거하였다.


이로써 피해목 5만 본 이상의 극심한 지역은 울산 울주군 1개 지역만 남았으나, 소규모 분산 발생이 늘고 있어, 이에 대해 산림청은 예찰․예방 집중, 이동 단속 강화, 정보통신기술(ICT) 접목 등 향후 방제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산림청이 예찰․예방 집중, 이동 단속 강화, 정보통신기술(ICT) 접목 등 향후 소나무재선충 방제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소나무 재선충은 크기 1mm 내외의 선충으로, 스스로 이동능력이 없어 솔수염하늘소 등 매개충의 몸을 빌려 이동하고, 솔수염하늘소 등 매개충은 소나무 재선충에 감염되어 고사된 나무에 가을철에 알을 낳고, 그 알이 애벌레 상태로 부화하여 월동하며, 이듬해 봄 솔수염하늘소 애벌레는 번데기로 용화, 이때 고사목 내의 소나무 재선충은 번데기로 침입, 4월부터 성충이 되어 고사목 밖으로 나와 여름내 주변 건강한 소나무를 갉아 먹을 때 생기는 상처에 소나무 재선충이 안착하여 소나무 안으로 침입, 1쌍의 소나무 재선충이 20일여간 20만 마리로 번식, 소나무의 수분 이동통로를 망가뜨려 3개월 내 소나무가 붉게 고사(100% 고사)한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는 2013년 제주도, 경상도를 중심으로 피해 고사목이 218만 본까지 확산하였으나, 범정부적 노력으로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으며, 산림청과 전국 지자체는 지난해에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전국 합동 정밀예찰(’19.5~10월), 집중 방제 기간(’19. 10~’20.4) 동안 피해 고사목 41만 본을 포함한 감염 우려 목 등 145만 본 제거, 지자체와 국유림관리소 간 공동방제 실시, 방제 사업장(’20.4, 1,305개소) 점검과 이동 단속 초소 운영(105개), 소나무류 취급 업체에 대해 집중 단속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매개충 우화기 기준인 ’19년 5월부터 ’20년 4월까지는 지난해 대비 17% 감소한 41만 본의 피해 고사목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피해목 기준 5만 본 이상인 ‘극심’ 지역은 2개(19년 4월 울산 울주군, 제주도)에서 1개(20년 4월 울산 울주군)로, 3만 본에서 5만 본 미만의 ‘심’ 지역은 4개(19년 4월 경주, 포항, 안동, 구미)에서 2개(20년 4월 경주, 제주도)로 감소하였고, 신규 발생지역은 충남 서산, 전남 해남 등 7개, 청정지역 환원은 경북 영양․문경, 충남 홍성 등 3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소나무재선충병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경북, 울산, 제주도에서 피해목 본 수가 18년 4월 69%(339천 본)에서 19년 4월 64.7%(263천 본)로 크게 줄어든 반면, 강원도 춘천, 전남 순천, 여수 등의 피해는 늘어났다. 특히, 제주도는 지난해에 비해 피해목 본 수가 절반 조금 넘는 수준으로 줄었고, 경북은 코로나19로 방제에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지난해보다 10% 감소하는 성과를 보였다. 


한편, 경기․강원의 잣나무림은 소나무와 비교해 고사 발현이 늦어 피해목 발견이 지연됨에 따라 피해가 증가하였다. 이에 산림청은 잣나무 특성에 맞는 우려 지역 모두베기, 예방 약제 개발 등 별도의 방제 방식을 마련하고, 피해가 증가한 시․군․구는 정밀예찰, 밀착 컨설팅과 더불어 관리 감독 소홀이나 부실 방제로 인한 피해 확산의 경우에는 단호한 행정 조치를 할 예정이다. 


종전에는 소나무재선충병이 일부 지역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으나, 최근, 여러 지역에 소규모로 분산되어 발생하여, 피해목 1천 본 이하의 시․군․구 개수와 비중은 2013년과 비교하여 각각 19개에서 87개로, 30%에서 70%로 증가하였다. 


이에 기존의 피해가 심한 지역에 대한 집중 방제에서 선단 지나 경미 지역의 예찰․예방 중심으로 무게중심 전환이 필요하게 되면서, 산림청은 고사목 전수 검경과 이력 관리 등 예찰을 철저히 하고, 우려 목 사전 제거와 예방나무 주사를 확대해 나가는 등 예찰과 예방에 주력할 계획이다. 더불어, 산림청은 전국 이동 단속 초소 재배치와 근무제 개선 등으로 실효성을 높이고, 미감염확인증 위·변조 방지, 화목 농가, 소나무 취급 업체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하여 이동 단속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비접촉 근거리 통신(NFC) 전자 예찰함 이외에도 비 가시권 지역의 드론 예찰, 초근접 드론 방제,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마킹 테이프 활용, QR 코드를 통한 고사목 이력 관리 등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하여 방제 효율성을 지속해서 높여 나갈 계획이다.


최병암 산림청 차장은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양상의 변화에 따라 방제 전략도 달리해야 하며, 선단 지 축소와 백두대간, DMZ 등 주요 소나무숲 보호를 우선 목표로, 확산 저지에 역량을 집중해야만 한다”라며 “앞으로도 소중한 우리 소나무를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박미서기자


관련기사
TAG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