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인터넷신문=대전/박미서기자] 금강유역환경청은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충남 태안군 두웅습지에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인 금개구리 복원에 성공하여 약 3,500여 마리가 서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웅습지 전경. (사진-금강유역환경청)
적응 방사장 모습. (사진-금강유역환경청)
2007년 12월 20일 람사르 습지로 지정·등록된 두웅습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금개구리는 2009년까지 습지 인근에서 발견되었으나 황소개구리, 가물치 등 상위포식자들이 대규모로 서식함에 따라 두웅습지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이에 따라 금강유역환경청에서는 사라진 금개구리를 두웅습지에 복원하기 위해 2017년 금개구리 복원사업을 한 후 인근 지역인 당진·태안 등에서 포획한 금개구리를 2018년에 30마리, 2019년에 100마리 두웅습지에 이입하여 먹이 공급을 하고, 동시에 습지 내의 황소개구리, 가물치 등 천적을 제거함으로써 외부 위협 없이 번식할 수 있도록 했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방사된 금개구리 성체. (사진-금강유역환경청)
금개구리 성체. (복원 결과, 사진-금강유역환경청)
그 결과 2019년 9월부터 2020년 5월동안 조사된 금개구리 개체수를 근거로 추산한 바에 따르면 현재 3,550마리 정도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고 덧붙였다.
금개구리 알. (복원 결과, 사진-금강유역환경청)
복원 결과-부화직후. (사진-금강유역환경청)
금개구리 올챙이. (복원 결과, 사진-금강유역환경청)
금강유역환경청은 복원된 금개구리 개체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두웅습지와 습지 인근의 지역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천적 제거를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하준 금강유역환경청장은 “이번 복원은 정부에서 특정 지역에 양서류를 복원한 첫 번째 사례이며, 2010년 이후 사라졌던 두웅습지의 상징이 다시 돌아왔다는 점에서 매우 기쁘고 의미 있는 일”이라며 “금개구리가 두웅습지는 물론 충청권의 다른 습지에서도 개체수가 늘어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미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