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플랩 웨비나] 새로운 HR Policy & Role
- 작금의 세상에서 기업은 이윤 창출을 넘어 이해관계자와 공생하고 공존해야 한다. 이를 상징하는 개념이 ESG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기업의 건강...
-
2022-06-28
무료
-
- [한국인력개발학회 춘계학술대회] HRD가 지향해야 하는 미래를 그리다
- 팬데믹 이후 생긴 거대한 변화의 흐름은 그간의 HRD 활동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렇기에 새롭게 등장한 여러 HRD 이슈...
-
2022-06-28
무료
-
- [한국평생교육HRD학회 창립 학술대회] 하나의 컨센서스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라
- 평생교육과 HRD. 지향점이나 추구하는 이념은 다를 수 있지만 보람차고 행복한 삶이라는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고, 모두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제 성...
-
2022-06-28
무료
-
- [정유정 소설가] 보편적 선을 향한 길을 안내하는 이야기꾼
- “인간의 내면에는 선과 악이 공존하기에 외면하고 싶은 어두운 본성을 응시하고 이해해야 비로소 보편적인 선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정교하고 치밀하게 ...
-
2022-06-28
무료
-
- [한국HRD협회 제358차 HRD포럼] HRD Tech & Solution의 현재와 미래
- 실효성 높은 업무환경 구축을 위한 기업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관련해서 HRD 부서의 경우 테크놀로지와 솔루션을 개발 혹은 도입해서 일과 학습, 소통과 ...
-
2022-06-28
무료
-
- [김종량 한양대학교 총장] 교직원·학생 전용 리더십 센터 개설
- 사람 중심 조직의 문제해결력을 키우는지식경영의 기반이 바로 HRD입니다. 경영의 복잡성과 미래의 불확실성이 증대될수록창의와 혁신을 발휘해서 조직의 ...
-
2022-06-13
무료
-
- [Workplace Redesign] 업무 환경 최적화를 위한 현안
- 팬데믹 감소세로 인해 기업들은 재택근무에서 대면 출퇴근으로 속속들이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직장인들은 사무실 복귀를 마냥 반기지 않고 있다. 그래...
-
2022-05-27
무료
-
- [이미경 대표] HR과 일터의 패러다임 변화 선도
- 딜(deel)2019년에 설립된 이후 고객사, 직원, 진출 국가, 지급 가능한 통화, 투자 유치, 기업가치 등에서폭발적으로 성장하며 3년 만에 유니콘 기업이 됐다. 원격 ...
-
2022-05-27
무료
- 최신뉴스더보기
-
-
- [창간 32주년 기념 엄준하 발행인 기념사] 전술적 교육에서 전략적 HRD 차원으로
- 『월간HRD』가 창간된 지 어느덧 32주년을 맞았습니다.『월간HRD』는 지난 1990년 7월에 인적자원개발 이론개발과 정보공유를 통한 인적자원개발의 저변 확대, 그리고 HRD 종사자의 위상 정립을 목적으로 창간하여 올해로 ‘창간 32주년’을 맞으며 총 383권째 매거진을 발행했습니다.오늘의 『월간HRD』가 있기까지 애독하고 성원해주신 인적자.
-
- 관찰자(OBSERVER) 게임
- ‘관찰자(OBSERVER) 게임’의 목적은 네 가지다. 첫째로 표정, 눈짓, 태도 등은 말하는 내용의 신뢰도를 높이기도 하지만, 불신하게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둘째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드러나는 타인의 생각이나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을 알아본다. 셋째로 심리 상태를 보여주는 특징적인 태도를 알아본다. 넷째로 신체를 ..
-
- [더플랩 웨비나] 새로운 HR Policy & Role
- 작금의 세상에서 기업은 이윤 창출을 넘어 이해관계자와 공생하고 공존해야 한다. 이를 상징하는 개념이 ESG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기업의 건강성을 높여서 지속가능경영을 실현하라는 메시지다. 이렇듯 경영의 방향성이 바뀌고 있는 가운데 HR 부서는 어떤 전략을 세워서 실행해야 하는가.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답은 사람인 H...
-
- [손욱 명예회장] 다시 대한민국, 행복한 HRD의 나라
- 필자에게 던져진 이번 칼럼의 주제인 ‘더 나은, 가치 있는 일터’란 어떤 것인지 생각하다가 문득 매슬로의 욕구 5단계가 떠올랐다. 조직원들이 더 높은 단계의 욕구를 충족시켜 나갈 수 있는 일터가 ‘더 나은 일터’라고 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이 더 높은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일. 즉,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의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