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Top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
과기정통부, KISA ’24년 상반기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훈련 실시 결과 발표 최대열 기자 2024-06-26 11:03:09

[대전인터넷신문=세종/최대열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은, 5월 중순부터 2주간 국내기업 등을 대상으로 ’24년 상반기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 훈련을 실시하고, 모의훈련 실시ㆍ분석 결과 발표, 우수기업 시상 및 사례 공유 등을 위한 강평회를 지난 21일 개최했다.


 

과기부와 KISA는 연 2회에 걸쳐 기업의 사이버 침해사고 예방과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한 사이버 위기 대응 모의훈련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훈련에는 지난해(’23년 하반기 훈련 391개사, 174,773명) 하반기 대비 42% 증가(기업 기준)한 역대 가장 많은 556개 기업 및 23만 4천여 명의 임직원이 참여했다.


이번 모의훈련은 ▲해킹 메일 대응,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 및 대응 점검, ▲기업 누리집 대상 모의침투, ▲기업 보안장비 대상 취약점 탐지의 내용으로 진행됐다.  



해킹메일 훈련은 501개 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특정 기관을 사칭하거나 일상적으로 받을 수 있는 메일로 위장한 해킹 메일을 발송하여 메일 열람 및 첨부파일 클릭을 통한 악성코드 감염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진행한 결과 임직원 20명 중 1명 정도는 해킹 메일 내 첨부파일을 실행하여 PC가 악성코드에 감염(’24년 상반기 평균 열람률 37.9%, 감염률 4.7%)됐다.


이번 해킹 메일 대응은 최근 3개년 동안 실시한 훈련 중 감염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열람률/감염률 모두 재참여 기업(37.2%/4.7%)이 신규 참여기업(40.3%/4.8%)에 비해 낮아, 반복적인 모의훈련이 임직원의 보안 인식을 제고하고 대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특정 서버(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 등에 많은 데이터를 발생시켜 장애를 일으키는 공격 DDoS) 및 대응 훈련은 98개 기업 누리집(홈페이지)을 대상으로 실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수행하고 탐지 시간과 대응시 간을 측정하여 기업의 대응 능력을 점검했으며, 평균 탐지시 간은 21분, 대응 시간은 24분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평균 탐지, 대응 시간이 대기업·중견기업 대비 더 소요(중소기업 탐지: 26분, 대응: 26분 / 대기업·중견기업 탐지: 21분, 대응: 23분)되어,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등의 침해위협에 대한 중소·영세 기업의 대응이 개선될 필요성이 있음이 확인됐다.


모의침투 훈련은 화이트해커가 45개 기업 누리집을 대상으로 주요 해킹 사례에서 사용되는 20여 가지의 다양한 공격기법(악성코드 삽입(XSS 공격), 파라미터 변조 및 조작, SQL인젝션, 부적절한 오류 처리 등)을 이용, 정해진 시나리오 없이 실제 해킹처럼 수행한 결과, 38개 누리집에서 총 124개(기업당 평균 3.3개)의 취약점이 발견되었으며, 취약점이 발견된 기업은 보완조치 안내에 따라 7월 중에 해당 취약점 제거 등 보안을 강화할 예정이다.


취약점 탐지 훈련은 144개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발견된 위험도 및 파급도가 높은 취약점에 대해, 기업에서 보유 중인 방화벽, 침입 방지시스템 등 보안장비가 해당 취약점의 공격 패턴을 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점검했고 참여기업 중 20개 기업에서 취약점 탐지가 미흡함을 확인했으며, 해당 기업들이 조치할 수 있도록, 주요 취약점에 대한 설명과 보안장비 설정, 패턴 업데이트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했다.


한편, 과기정통부와 KISA는 기업에서 원하는 기간에 자율적으로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사이버 시큐리티 훈련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훈련에 참여하지 못한 많은 중소기업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안내·홍보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정창림 정보보호 네트워크 정책관은 “최근 임직원 대상 스피어 피싱(악성 URL 또는 악성 파일이 첨부된 메일을 신뢰할 만한 사용자가 보낸 것처럼 위장해 특정인, 특정 조직의 PC에 악성 코드를 감염시키는 피싱 공격 ), 관리가 소홀한 누리집 정보유출, 랜섬웨어 공격 등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공격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라면서,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정기 훈련의 질적 수준을 지속 강화하는 한편, 상시 훈련 플랫폼 활용 등을 통한 반복 훈련으로 기업들이 정보보안 수칙을 잘 준수하고,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대열기자

관련기사
TAG

포토뉴스